2018년 사이판 태풍피해때 우리 교민을 수송하고자 파견 되었을때도 C-130 허큘리스 수송기가 사용 되었습니다.
하지만 수송능력과 항속거리가 짧아 효율적 작전이 쉽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이번 아프간 미라클 작전에 사용된 C-130j 슈퍼 허큘리스 대형 수송기는 지난해 6월 6ㆍ25 전사자 유해 송환을 시작으로 7월 이라크 교민 수송, 올해들어 얀센 백신 수송, 청해부대원 긴급 복귀, 홍범도 장군 유해 봉환까지 대형 수송기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습니다.

한국 공군 주력 수송기인 C-130 허큘리스 수송기는 항속거리와 수송능력이 떨어지다 보니 그동안 작전에 한계가 있었는데요, 2019년도에 시그너스가 도입될 당시만 하더라도 일각에서 필요없는 전력이라는 비난을 받아왔습니다.
당시 군은 병력 300여명과 화물 45t을 공수할 수 있고 공중급유를 통해 전투기의 작전반경을 늘릴 수 있어 독도와 이어도방어에도 유리하다고 주장해었습니다.
그리고 이번 미라클 작전에서 사용된 공군 수송기 KC-330 시그너스와 C-130J 슈퍼 허큘리스는 이번 아프칸 미라클 작전에서 탁월한 능력을 보여 주었습니다.
미 록히드마틴이 만든 C-130J 슈퍼 허큘리스는 C-130 혀큘리스 허큘리스 수송기를 최근에 확대개량형으로 동체 연장형입니다.
C-130J의 경우 이미 공군에서 운용 중이고, A400M에 비해 획득 및 운용유지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 공군은 이미 C-130J 슈퍼 허큘리스를 2014년 4월부터 도입해 4대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C-130J 슈퍼허큘리스 대형 수송기를 운용하는 14번째 국가입니다. C-130J 슈퍼 허큘리스는 좀 더 엔진 추력이 향상된 엔진(롤스-로이스 AE 2100D3 터보프롭 엔진)을 창작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공역학적으로 효율적인 형상으로 재설계된 복합소재 프로펠러 장착으로 최대이륙중량은 2만 파운드 가량 증가했고, 항속거리는 40% 가량 확대됐습니다.
C-130J 슈퍼허큘리스의 전자전 체계에는 E 밴드부터 K 밴드까지 담당하는 레이더 경보수신기가 장착됐습니다.
또 AN/AAR-47 미사일 경보 장치는 미사일의 접근율, 접근 방향, 거리 등을 한눈에 보여주며, 미사일에 요격될 것을 방지해 유도 미사일을 교란할 수 있는 자체 방어 시스템도 장착했습니다.

1대에 120여 명을 태울 수 있는 C-13OJ는 길이 29.9m, 날개 폭 40.4m, 기고 11.8m로 8700m까지 상승할 수 있다. 최고속도 시속 671㎞/h, 항속거리 5250㎞입니다.
에어버스의 A400M 아틀라스 대형수송기도 후보기종입니다.
C-130J보다 획득과 유지비용이 비싸지만 이미 점증된 기종이라는 점에서 유리한 측면이 있습니다.
프랑스도 최근 아프가니스탄에 있는 자국민과 조력자들을 구출하기 위해 A400M 아틀라스 수송기를 보내기도 했습니다.
당시 프랑스군 수송기가 카불공항에서 탈출하면서 미사일 회피 장치인 플레어를 발사하는 사진 외신에 보도되기도 했습니다.
[ C-130j 슈퍼 허큘리스 수송기-제원,성능]

한국 공군의 대형 수송기 도입 사업 후보 기종 A400M 아틀라스 제원
대한민국 공군이 대형 수송기 도입 2차 사업을 추진한다는 발표가 있었는데요, 그동안 미국의 C-130 허큘리스 수송기를 사용했던 공군은 북한및 해외 분쟁 내 전력 공수와 공중침투 확충, 병참능
minian.tistory.com
'밀덕 ,잡학 > 밀리터리[military]밀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무인 스텔스기(스텔스 무인기) 5년만에 기술 개발 완료!! (2) | 2021.09.13 |
---|---|
FA-50 화이팅 이글 공중전 능력 업그레이드(성능개량)가 시급하다!! (2) | 2021.09.11 |
한국 해군 해상작전헬기 2차 사업에 선정된 시호크 헬기(가격, 제원) (2) | 2021.09.09 |
한국 육군의 막강 전력 육군 항공 작전 사령부(한국,미국,러시아,중국,북한 헬기 보유대수) (4) | 2021.09.08 |
한국 도산 안창호함-잠수함 첫 SLBM 발사 성공 (중국,일본,외신 반응) (2) | 2021.09.08 |
댓글